본문 바로가기

경영有感2

어질리티(Agility)와 데이터 객관화의 필요성 911테러와 금융위기 등 일련의 엄청난 사건을 경험한 2000대 초, 사람들은 발음마져 생소한 뷰카(VUCA*)가 'New Nomal'이 되었다고 했지만 채 몇년이 되지 않아 이를 넘어 'New Abnormal'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이야기 했다. 2008년 금융위기 전 'Normal' 시대에는 경제현상을 예측할 수 있었고 'New Normal' 시대에도 다소 힘들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했다. 그러나 'New Abnormal' 시대에는 더는 기존 경제, 경영이론으로 미래 예측이 어려워졌다. 그만큼 불확실성이 더 높아져 경영자의 '경험'과 '감'만으로는 성공적인 경영을 하기 어려워졌단 의미이다. 이처럼 'New Abnormal'의 시대에 기업경영은 그 어느 때보다 민첩성을 강요받게 되.. 2019. 10. 7.
사원 채용, 신입이 좋을까? 경력이 좋을까? 자본주의의 3대 생산요소(토지, 자본, 노동) 중 하나로 기업의 성장과 영속에 꼭 필요한 것중  하나가 뛰어난 인재이다.그런데 이런 인재를 채용함에 있어 신입사원이 좋을까? 경력사원이 좋을까? 오늘은 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해당 업무 경험을 이미 보유한 경력사원은 일반적으로 아래의 특징을 보인다.업무 경력에 따른 생산성 프리미엄을 감안해 급여 책정회사(=사회)생활 및 업무 경험 노하우가 이미 있어 추가 훈련 없이 바로 실전 투입 가능이미 가진 사회생활 및 업무경험 고수 성향이 강한 편반면, 일반적으로 학교를 갖 졸업하고 입사한 신입사원은 아래의 특징을 보인다.업무 경험 프리미엄이 없어 경력사원에 비해 급여수준 낮은 편 실무배치 전까지 채용 후 일정기간 교육훈련 필요 (1~2년)회사에 대한 애.. 2019. 9. 4.